사용자 삽입 이미지

                                박정희 대통령 존영


=================================================
                박정희 대통령 재임 연표
=================================================

박정희 대통령 5대 - 9대 (1963년 - 1979년)

1962년
3월 24일 : 박정희 최고회의의장, 대통령 권한 대행

1963년
8월 30일 : 박정희 육군대장 전역식
12월 17일 : 제3 공화국 출범

1964년
2월 1일 : 정기 국회에서 4대의혹사건 정치 쟁점화
6월 3일 : 한일회담 반대 시위

1965년
1월 8일 : 베트남 전쟁에 파병 결정
6월 22일 : 한·일협정 조인

1966년
4월 9일 : 인천제철공장 기공식, 한·미 행정협정 조인

1967년
5월 3일 : 제6대 대통령 당선
6월 8일 : 제7대 총선 실시, 신민당 6개월간 등원 거부

1968년
1월 21일 : 서울에 무장공비 31명 침입
4월 1일 : 향토예비군 창설

1969년
9월 14일 : 3선 개헌안 변칙 처리

1970년
1월 9일 : 새마을 운동 시작
7월 7일 : 경부고속국도 개통
8월 15일 : 남북간 선의의 경쟁을 제창하는 8.15 선언 발표
11월 13일 : 근로기준법 준수를 요구하며 전태일 분신 항거

1971년
4월 15일 : 언론자유수호운동 본격화
4월 27일 : 박정희, 제7대 대통령 당선
7월 28일 : 사법 파동
9월 20일 : 남북 이산가족찾기 적십자간 첫 예비회담 개막

1972년
7월 4일 : 남북공동성명 발표
10월 17일 : 유신체제 선포, 비상계엄령 선포
12월 23일 : 제8대 대통령 당선
12월 27일 : 유신헌법 공포

1973년
6월 23일 : 남북한 동시 유엔가입 제창
11월 14일 : 호남고속도로 개통

1974년
6월 23일 :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 대통령 저격사건 발생, 육영수여사 피살

1975년
2월 12일 : 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
5월 13일 : 유신헌법 비방 금지 대통령 긴급조치 제9호 공포

1976년
3월 1일 : 3.1 민주구국 선언 발표

1977년
12월 22일 : 수출 목표 1백억 달러 달성 기념식

1978년
12월 6일 : 미국 하원 윤리위원회, 코리아게이트 파문 최종 보고서 채택
12월 10일 : 국민 1인당 GNP 1,117달러 달성
12월 27일 : 제9대 대통령 취임

1979년
4월 10일 : 정부 과천청사 준공
7월 1일 : 전국민 의료보험제 전면 실시
8월 11일 : YH 노동조합 농성 진압
10월 15일 : 부산, 마산 민주화 운동 시작
10월 26일 : 박정희 대통령 서거

박정희 대통령 생가 구경하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박정희 대통령 제9대 대통령 취임 기념우표 시트


박정희 대통령 생가 구경하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박정희 대통령 존영

박정희 대통령 5대 - 9대 (1963년 -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의 18년 장기집권의 결과는 공과에 대한 국민의 평가가 극명하게 엇갈리는 대통령이다. 5.16군사쿠데타로 정권을 획득하고 새마을 운동으로 대표되는 농촌부흥운동과 경제개발에 있어서의 업적은 높이 평가 받지만 장기집권을 위한 10월 유신개헌과 그에 따른 사회적 저항을 억누르는 과정에서 인권탄압에 대한 평가는 현재도 계속되고 있는 중이다.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정치적 평가는 현재와 미래로 이어져 잘 못된 정치행위로 굴절된 국정운영에 대한 사실을 그릇됨 없이 기록하여 다시는 이 땅에서 억울한 희생자와 삶이 기록되지 않는 미래를 우리들은 물려줄 의무가 있다.


박정희 대통령 생가 구경하기...